전기 히터 전기세 쉽게 계산하기

 

전기 히터 전기세 계산법

전기히터는 겨울철 필수품중에 하나이다. 또한 대표적으로 전기를 많이 먹는 제품이기도 하다. 필수품인 전기  난방기, 어떻게 써야 전기세를 절감할수 있을까? 계산법을 알아보도도록 하자.

전력 소비량은 어느정도?

먼저 해볼것은 바로 전력 소비량을 찾는 것이다. 이것은 각제품마다 표시가 되어 있다. 가전 스펙에는 꼭 이 전력량을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위 사진에서 보면 “정격난방능력”이라고 표기된 부분이 바로 난방에 대한 전력소비량이다. 3800wh인것을 알수 있다

사용 시간은?

그다음은 난방기를 하루에 몇시간 켜두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필자의 경우 하루에 난방기를 3시간정도 사용하는 것 같다 소비 전력량은?

자 이제 하루에 소비 전력량을 계산해 보자.

시간당 전력량 x 하루 가동시간 3800 x 3 = 5400w

드디어 월간 전력량과 전기세를 계산해 보자 하루 전력량은 54000w였다. 여기에 한달을 30일로 쳐서 30을 곱해주도록 하자

54000 x 30 = 162000

즉, 월간 전력량은 162000w가 된다. 이 월간 총 전력량에 시간당 전기세만 곱해주면 끝이다. 누진세에 대한 이야기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현재 단순 계산에 의한 전기세만 계산해 보도록 한다. 2023년 현재 전기요금은 1kw당 134원이다. 그렇다면 총 월간 전력량에서 134원을 곱하면 된다.

162 x 134 = 21708 한달에 2만원 정도의 전기세가 나온다고 보면 되겠다. 여기에 한 가구당 종 전력량의 누진세를 계산해 주면 된다.

절전형 난방기 보러가기

전기세를 좀더 아끼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누진세 구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구간이 진입했을때 최대한 효율적으로 전기를 아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은 편하려고 하면 한없이 편해지려고 하는 존재다. 더우면 옷을 벗고 추우면 옷을 입자. 그러면 전기세가 상당히 절감될것이다.

  • 전기세 많이 먹는 가전을 잘 파악

  • 추우면 옷을 입자

  • 더우면 옷을 벗자

FAQ. 자주묻는질문

Q. 1kw당 전기세는 얼마인가요

A. 일반적으로 누진세를 제외하면 2023년 현재 910원 정도

Q. 가전의 전력량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A. 각 가전의 스펙, 모델명이 있는 곳에서 확인 가능  

Leave a Comment

전기와 에어컨 꿀팁, 꿀K